“임신의 20~30%는 산모나 태아에 좋지 않은 영향 요소를 가지고 있는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됩니다.
산모와 태아는 고위험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 때문에 치명적인 영향을 방을 수 있어 주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.”
고위험임신 관리요소
고위험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산전진찰과 태아기형검사, 양수검사, 융모막검사, 삼차원 초음파 검사, 칼라도플러검사, 당뇨병 선별검사, 태아안녕검사 등을 통하여 고위험임신 인자를 찾고 산모 및 태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및 부작용을 감소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.
관리 요소 | 내용 |
---|---|
산모의 나이 | 고령 산모(35세 이상)이거나 19세 이하의 산모 |
과거 출산력 | 과거에 잦은 유산, 기형아, 조산아, 사산아, 거대아의 출산력이 있는 산모 |
유전 및 가족력 | •유전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•모체 혈액을 통한 기형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|
임신전에 질병이 있는 경우 |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을 가진 산모 (당뇨, 고혈압, 갑상선질환, 심장병, 신장병, 자가면역 질환 등) |
산모의 체중 | 저 체중 혹은 비만의 산모 |
산전 검사상 이상 | •초음파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 •자궁 내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경우 •양수과다증 또는 양수 과소증을 보인 경우 |
임신성 당뇨병/ 임신중독증/ 감작된 Rh 음성 산모 | •임신 중에 발생한 당뇨병과 임신 중독증이 있는 경우 •감작된 Rh 음성 산모 |
분만 시기에 따라 | •조기 양막 파수 •조기진통으로 보이는 산모 •예정일을 1-2주 지난 산모 |
다태 임신 | 쌍둥이, 삼태아 등 |